   1) 칼륨(K)과 칼슘(Ca)은 전혀 다른 것임.
2) 칼륨은 영어로 potassium이며, 칼슘은 cacium임.
3) 칼륨은 한국말로 "가리"라고도 사용하는데, 같은 뜻으로 봐도 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칼륨은 "K"이며, 가리는 "K2O"임. 3대 영양소의 하나로 작물의 삼투압 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함.
4) 칼슘은 세포벽을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다량원소 N, P, K, Ca, Mg, S 중에서 유일하게 이동이 잘 안되어 열매를 튼튼하게 할 경우에 수확 1개월 정도 전에 엽면살포함. 칼슘은 석회라고 쉽게 생각하면 끝 <영양소 표기 > 질소 N 인산 P 칼륨(가리) K 마그네슘 Mg 칼슘 Ca 황 S 붕소 B 철 Fe 망간 Mn 아연 Zn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 유기질 비료는 동물이나 식물의 퇴비, 골분, 두엄, 깻묵 등을 원료로 한 지효성 비료로서 흙 속에서 무기질로 분해되어 식물이 흡수하기 때문에 효력이 더디지만 장기간 효력이 지속되는 이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분해되며 냄새와 가스가 발생되기에 베란다 텃밭이나 실내 화분에 사용하기는 꺼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무기질은 이런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성분을 이용해 만들어 낸 비료로 냄새가 없고 물에 잘 녹으며 흙에 잘 침투하기 때문에 다루기도 쉽습니다. 1. 질소비료 N 질소는 식물의 모든 성장에 필요한 기본 성분입니다. 특히 초기의 성장에 필요한 성분으로 잎이나 줄기를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로 어린 묘부터 성장이 왕성해질 때까지 계속 공급해야 하는 비료 입니다. 만약 부족하게 되면 잎의 빛깔이 나빠지며 누렇게 되어 떨어지고 줄기가 자라지 않으며 꽃 수도 적게 피고 꽃빛이나 모양도 나빠지는 식물의 성장 장애를 일으킵니다. 반대로 질소가 과다하면 이파리만 무성하고 개화, 결실이 불량해집니다. 질소는 단백질이나 엽록소의 구성 성분을 식물체를 만드는 재료 입니다. 부족하면 잘 자라지 못하며 이이 윤기를 읽고 노랗게 변하면서 광합성 작용을 하지 못합니다. 심하면 말라 죽습니다. 이이나 줄기의 옆록소를 만드는 역할을 하여 엽비라고 합니다. 2. 인산비료 P 식물세포의 단백질이나 저장 성분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꽃과 열매를 충실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중요한 성분으로 내한성과 병에 걸리는 저항력을 증가시켜 줍니다. 인산 성분 부족시 뿌리의 발달이 나빠지며 잎의 색깔이 엷게 변하고 광택이 없어지고 줄기도 가늘어져 힘이 없어져 아래로 잘 처지고 꽃의 크기가 작아지고 색갈도 엷어져 일찍 떨어집니다. 인산비료는 아무 때나 주는 것보다 생장 후기나 결실 또는 꽃이 피기 전에 주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배양토 만들 때 흙속에 포함되는 인산 성분으 뿌리에서 흡수하여 체내에 저장해 두어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인산은 식물의 세포를 만드는 재료로 식물체 내의 유기산 합성과 분해, 호흡을 돕는 작용을 합니다. 부족하면 잎이 윤기를 잃고 암녹색이나 적록색으로 변하고 꽃과 과일의 상태가 나쁘게 됩니다. 꽃과 과일에 영향을 주며 꽃비료 라고 합니다. 3. 카리 비료 K2O 탄소동화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전분을 만들고 뿌리 등 식물의 섬유조직을 튼튼하게 만들며 추위나 더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병충해의 피해를 막아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꽃이나 열매, 구근 등을 굵고 살찌게 하고 뿌리나 줄기를 항하게 해 줍니다. 그래서 식물이 병충해에 강하게 적응하도록 도와줍니다. 칼리비료가 부족 시 뿌리가 약해져서 성장이 잘 되지 않고 약한 습기에도 잘 썩어버립니다. 과실이나 꽃의 결실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잘 떨어지고 씨앗은 잘 완숙되지 않습니다. 아래에 있는 잎이 잘 떨어지고 새로 나오는 잎이 평소의 잎보다 작아지며 이파리 색깔도 엷게 변합니다. 4. 칼슘 Ca 과 미량요소 토양의 산도를 조정하는 칼슘과 엽록소를 만드는 마그네슘(미량요소) 식물이 자라는데 꼭 필요한 소량의 철 망간 아연 구리 염소 등의 성분으로 식물체의 효소 구성 성분으로 작용하는데 꼭 필요한 성분입니다. ..... 칼리는 식물의 세포 안에서 물질대사가 정상적으로 되도록 생장 환경을 조절해 주며 동화 물질의 이동과 저장에 관계가 있습니다. 부족하면 잎이 가장자리가 갈색으로 변하게 되어 생육이 저하됩니다. 병에 대한 저항력과 내한성이 약화됩니다. 계절별 시비 봄 생육이 왕성하므로 시비를 많은 듯하게 주어도 오히려 잘 자라지만 어린 모종은 시비를 적게 합니다. 여름 고온다습한 우리나라 여름 기후는 허브류가 가장 견디기 어려운 계절로 포기가 쇠약해져 있으므로 비료는 역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을 밤과 낮의 기온차가 있어 비료의 흡수도 좋고 겨울나기를 위해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므로 집중적으로 줍니다. 겨울 휴면중일 때에는 가급적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간단정리> 질소 는 가지나 잎을 만듬 인산 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음 칼리 는 뿌리를 만듬 따라서 작물을 키울때 잎을 이용하는 작물은 질소의 함량이 높은 것을 사용하고 열매나 꽃을 원하면 인산이 많이 들어간 비료를 사용하면 됨 |